• Announcements

    • Zerasion

      GDF 기본 공지 사항   2017년 11월 23일

      이전 (phpbb & Ruby를 쓰던) GDF에 올라왔던 공지사항들을 새 형식에 맞게 수정했습니다.   인벤과 GDF에 대하여 일단, 도메인 주소에서 보실 수 있듯, 이 포럼은 인벤 (inven.co.kr) 에서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돌아갑니다.
      그러나 회원 DB나 운영은 완전히 별개로 독립되어 있습니다. 
      즉 인벤 아이디로 GDF에 로긴하거나, GDF 아이디로 인벤에 로긴하는 등의 일은 불가능합니다. 
      아울러 운영진 또한 인벤직원이 아닙니다. 
      이는 즉 인벤과는 전혀 다른 운영정책을 취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행여나 이 포럼에서 생긴 일에 대한 문의나 요청이 인벤측으로 가거나, 
      반대로 인벤에 대한 문의 또는 요청을 이쪽에 주셔도 저희로서는 어떻게 해드릴 수가 없습니다.
      혹시나 도메인 주소 때문에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을까봐 부연합니다.   GDF의 취지 게임 개발자의 역할을 나누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최근 한국의 게임업계에서는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아티스트 중심의 구분이 어느 정도 보편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실력 있는 프로그래머, 실력 있는 아티스트에 대한 평가 기준과 거기까지 도달하는 방법론이 비교적 뚜렷한 것과는 달리, 어떤 게임 디자이너가 유능한 디자이너이며 그렇게 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수많은 이견이 있을 뿐입니다. 물론 팀의 성향과 개발 여건에 따라 게임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소양은 타 직군에 비해 다양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아이디어를 뽑아내는 창의력, 다른 파트와 유연하게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문서를 만들어 내는 능력 등은 때로 가장 중요하게 손꼽히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게임 디자이너가 자신의 전문 분야로 삼아야 할 것은 무엇보다 '게임 디자인 능력'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재미있는 게임을 디자인 해내는 능력이야말로 기본이자 필수입니다. 그러나 정작 '어떻게 해야 게임 디자인을 잘 할 수 있는지' 공부하는 길은 그리 만만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어떤 것이 잘한 게임 디자인인지' 판단하는 것부터도 어렵습니다. 물론 찾아보려 마음 먹는다면 생각보다 많은 정보 더미를 얻을 수야 있겠습니다만, 그것은 말 그대로 건초에서 바늘 찾기입니다. 인터넷만 뒤져본다고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그 정보들은 누군가의 하드디스크에, 어딘가의 클라우드 서버에, 때로는 오직 인쇄된 문서로만 존재하니까요. 그리고 아마, 가장 중요한 정보들은 수많은 게임 디자이너들이 '내가 이 삽질을 다시 하나 봐라!' 하고 결심하는 그 순간의 뇌리에만 존재할 겁니다.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 중에도 최고의 속도를 자랑하는 이 업계에서는, 분명 많은 유저에게 재미를 주던 검증된 게임 매커니즘도 불과 몇 년 사이에 닳고 닳아 진부한 것이 되기 일쑤입니다. 또한 잘 만들어진 게임일수록 그 안의 모든 시스템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어, 몇 개의 디자인 장치를 떼어내 다른 게임에 갖다 붙인다 해서 성공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결국 이 모든 일은 게임 디자이너들에게 끊임없이 공부할 것을 요구합니다. 무얼 공부해야 할지,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는 사실 막막한 상황에서 말입니다. Game Design Forum은 그런 상황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곳에서 게임 디자인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내용을 함께 나눌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멋진 게임 디자인 자료들을 찾아내어 공유하고 싶습니다. 자기만의 디자인 노하우나 경험담이 있다면 서로 나누고 싶습니다. 딱히 정답을 찾아내진 못하더라도, 서로 대화를 나누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뭔가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 일을 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입니다. 그래서 이 곳은 무엇보다 "게임 디자인"에 대해 토론하고 대화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와 비슷한 취지로 만들어졌던 많은 커뮤니티들이 결국 게임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에서 게임 개발 전반, 산업 전반에 관한 이야기로 옮겨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물론 게임 디자인 역시 게임 개발의 일부인 이상 그런 화제들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러나 일단 이 곳에서 활동하시는 여러분께서 "GDF는 게임 디자인에 관해 이야기 나누는 곳" 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해 주신다면 이 곳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일은 없지 않을까 합니다. 언제나 그 점 기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켜주세요 – GDF 사용 규칙 이 포럼을 사용하기 위해 숙지하고, 지켜주셔야 할 규칙들입니다.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가능한한 최소화하려 노력했는데도 이정도네요. 
      이 규칙들을 의도적으로 또는 과하게 어겼다고 판단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도 있습니다. 
      잘 지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게시판의 용도를 지켜주세요.
      각 카테고리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Purple Board
      Green/Blue 에서 관리자가 추천하는 게시물이 옮겨진 게시판입니다.
      비회원을 포함한 모두가 읽을 수 있으며, Purple Panel(관리자)만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댓글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Blue Board
      관리자에 의해 승급된 Blue Panel들이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비회원을 포함한 모두가 읽을 수 있으며, Blue Panel들만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Green Board
      회원 가입 후 인증이 완료된 Green Panel들이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비회원을 포함한 모두가 읽을 수 있으며, Green Panel들만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Free Board
      잡담 게시판입니다.
      비회원을 포함한 모두가 읽을 수 있으며, 모든 Panel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To GDF  운영진에게 부탁하고 싶은 내용, 궁금한 점, 건의 사항 등을 여기에 적어주세요. 
      비회원을 포함한 모두가 읽을 수 있으며, 모든 회원이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게시판의 의도와 관계없는 게시물은 운영진에 의해 적당한 다른 게시판으로 옮겨지거나 삭제될 수 있습니다.   2. 게시판 예절을 지켜주세요.
      게시판 이용자간에 서로 지나치게 적대적인 태도는 피해주세요. 
      존댓말을 기본으로 하며, 서로 아는 사이라 해도 반말의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잡담 게시판 예외)
      물론 외부의 글을 옮겨오는 등의 경우에 불가피하게 평어체로 작성된 글은 무방합니다.   3. '포럼처럼' 사용해주세요.
      이곳이 다른 게시판이 아니라 굳이 '포럼' 의 형태를 취하는 이유는, 포럼의 기능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염두에 두시면 됩니다.
      하나의 이슈에 얽힌 이야기는 하나의 글타래로만 다룹니다. 
      새로운 글타래를 매번 새로 만드실 필요가 없습니다. 꼭 댓글 형태로 달아주세요. 
      댓글을 아주아주 길게 달 수도 있으니 부담없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새 글타래를 만들기 전에 검색을 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이 사항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강제로 게시물이 이동/삭제될 수 있습니다. 유의하세요.
      너무 오래 전에 올라온 글이라 의견을 달아도 아무도 보지 못할 것 같은가요? 
      이 포럼은 가장 최근에 댓글이 달린 게시물을 자동으로 최상단에 올려줍니다.
      아주 오래 전 이슈를 다시 언급하는 경우에도 새 글타래를 만드실 필요가 없어요.
이 글을 팔로우하기  
팔로워 0
Zerasion

[아카이브] 19인의 위대한 게임 학자들

1 post in this topic

Voosco 님이 작성하셨던 포스팅의 아카이빙입니다.

---

 

딱히 게임 디자인에 직접 관련되는건 아니지만 흥미로워 할 분들도 있을 듯 해서 이름들만 ^^; 가져와봅니다. 어떻게든 해석을 해보려했는데 ... 전공이나 학교 명칭 등을 제대로 해석하기가 어려워서 포기 ... -_-

원문 주소 : 
http://www.onlineuniversities.com/blog/2012/11/the-18-greatest-gaming-scholars-all-time/

아래에 소개된 분들이 지은 책들 중 몇몇은 국내에도 소개되긴 했습니다만 2010년 이전에 나온 책들은 번역 상의 문제 때문에 읽기가 어려운 경우가 좀 있고 (게임을 잘 접해보지 못한 분들이 번역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번역이 잘 되었다하더라도 굉장히 아카데믹해서 해당 분야 전공자가 아니라면 읽는데 엄청난 집중력을 요하더군요. 그래도 혹시나 관심있는 분들이 있을까봐 제가 아는 선에서는 번역된 책들의 링크를 넣어봤습니다. 

아래에서 하늘색 글씨 및 국내 번역된 책 소개는 제가 넣은 멘트, 그 외의 텍스트는 원문의 극히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1. Kurt Squire: 게임 기반 학습 및 교육 전문가. 교육계에서의 게임에 대해 75건 이상의 출판물 (논문?) 을 펴냄. 

2. Sara de Frietas: 시리어스 게임 전문가. 교육학, e-learning, 시리어스 게임 및 훈련과 교육, 가상 세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

3. James Paul Gee: 가장 최근의 연구는 K-12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교실에서의 비디오 게임 교육과, 어떤 원칙들이 게임을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양쪽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것. 최근에 'Language and Learning in the Digital Age' 라는 책을 출간

4. Marc Prensky: 최근 교육적 게이밍에 대한 가장 결정적 의견을 내는 사람들 중 하나. 디지털 학습에 대해 60건 이상의 에세이와 5권의 책을 낸 저자. 

5. Eric Zimmerman: 게임 관련 컨퍼런스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하죠. 학자이기보다는 게임 디자이너. 교육적 게이밍의 개발에 크게 기여한 인물. 

6. Katie Salen: 위에서 소개한 에릭 짐머만과 마찬가지로 학자이기보다는 게임 디자이너이자 애니메이터. 최근에는 수학기반의, 과학기반의, 건강기반의 게임들을 콜라보레이션하는 작업을 개발중인 듯. 

7. D.W. Shaffer: 지적 이슈들에 초점을 맞춘 연구. 지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의 한 갈래.

8. Pamela M. Kato: 건강 심리학 및 비디오 게임 전문가

9. Ken Perlin: 교육을 위한 게임 개발에 큰 관심을 가짐. 그래픽, 애니메이션, 증강현실과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많이 관여하지만 과학을 가르치기 위한 게임과 멀티미디어 경험 개발 이슈에도 흥미가 있음.

10. Constance Steinkhuler: 온라인 게임에서의 인지와 학습에 초점을 맞춘 학문적 연구. (와우에 크게 주목하고 있음) 

11. Jane McGonigal: 게임으로 누군가를 교육하는 것 뿐 아니라 세상을 바꾸기를 원함. 맥고니걸의 연구는 대체로 게임을 통해 사람들을 정신적 육체적으로 나아지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일상을 바꾸는 일에 비중을 두고 있다. 국내에 출간된 책은 누구나 게임을 한다

12. Sivasailam Thiagarajan: 게임이 업무효율 증대를 돕는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거라 믿음. 인터랙티브 학습의 세계적 전문가이며 게이밍과 연계된 컨설팅 사업을 30년이 넘게 해오고 있음. 40권의 책의 저자이자 120여개의 게임과 시뮬레이션의 디자이너이고 200건이 넘는 문건의 저자. 

13. Jesper Juul: 최근에는 게임이 지배(?)하는 반은 현실/반은 허구인 공간을 시험하는 쪽으로 연구 방향을 선회. 그의 연구는 게임을 꼭 교육에 응용하려한다기보다는 심리학적/사회학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최근에 서울대 이정엽 선생님 번역으로 국내에도 책이 나왔죠 캐주얼 게임

14. Sasha Barab: 읽어보진 못했어도 들어는 봤을 - 유명한가봐요. 저는 잘 모르 ... ;; - Quest Atalantis 의 주인공. 

15. Janet Murray: 2000년대 초반 게임 학계의 뜨거운 화두 중 하나였던 루돌로지 vs 내러톨로지 논쟁의 주역 중 한 명. 제 기억이 맞다면 내러톨로지 진영의 핵심 중 한 명이었을 겁니다. 커리어 전반에 걸쳐 게임의 사회학적 도입 연구에 큰 업적을 남김. 중요 저서로 1997년작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가 있음. 이 책이 국내에 번역되어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번역의 질은 그닥 ... 

16. Henry Jenkins: 위에서 소개한 재닛 머레이의 반대진영, 즉 루돌로지 진영의 수장(?) 이었던 걸로 기억 ... 지금은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Communication, Journalism, 그리고 Cinematic Arts를 가르치지만 MIT에서 게임 연구 분야의 초기 멤버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10여년이 넘도록 MIT에서 강단에 서기도 했었음. (요새는 모르겠지만 게임의 학문적 연구 초창기에 MIT의 미디어랩은 굉장히 유명했죠) 

17. Brenda Laurel: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및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분야의 선구적 연구자이자 디자이너. 브렌다 로렐의 연구는 게임의 사회학적 수행적 측면을 이해하려는 이들에게 필독서임. 국내에 번역된 저서로는  '컴퓨터는 극장이다'

18. Espen Aarseth: 그의 연구의 중요한 지점은 게임을 이용한 스토리 전달, 학습, 공간 정의, 심지어 중독적 측면을 더 많이 이해하려는 욕망이다. 

19. Ian Bogost: 이 분야의 최고 학자들 중 한 명. 이 분 트위터 팔로우하는데 드립력도 좋습니다 ㅋㅋ

보시다시피 교육과 게임의 연관성이 게임의 학문적 연구의 큰 축이 되고 있죠. 

이게 좀 보기 좋다고 느끼는게 ... 제 개인적 경험으로 2000년 전까지는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행동과 디자이너의 의도가 반할 때, 이건 무조건 나쁜 걸로 여겨졌었거든요. 따라서 디자이너의 의도와 무관한 플레이어의 행동이 빈발할 경우 이를 막거나 못하게 하는 쪽으로 게임을 바꾸곤 했었죠. 근데 2000년이 지나면서 중후반까지 오자, '게임 전체에 크게 해될게 없으면 플레이어가 원하는걸 맞춰주는게 더 맞다' 라는 의견이 지배적이 되었고, 이를 따르는 방향으로 많은 개발들이 이루어졌었습니다. 

여기서 게임을 사회로, '디자이너의 의도에 반하지만 플레이어들이 원하는 행동'을 게임으로 치환하면, 구도가 얼추 연결이 됩니다. 우리 사회에서 이제 게임은 배제할 수 없는 어떤 입지와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죠. 여기에 대해 '후진' 정책은 게임을 어떻게든 사회에서 배제/격리하려는 움직임일테고, 게임 업계가 이후에 취하게 된 '선진적' 정책은 이를 어떻게든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하려 노력하는 쪽일 겁니다.  북미쪽은 이런 움직임이 아주 오래전부터, 애초부터 위에서 언급한 '후진적 정책'은 염두에도 두지 않고 긍정적 활용을 고려하면서 이어져왔고, 그 증거가 바로 여기에 나타난, 게임의 가장 권위있는 학자들 중 상당수가 교육과 게임의 연계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는 점이겠죠. 

그러나 우리는 ... ㅜㅜ

0

Share this post


Link to post
Share on other sites
이 글을 팔로우하기  
팔로워 0